드라마 ‘돌풍’, 그 뒤는 어떻게 전개될까?
넷플릭스 드라마 ‘돌풍’을 봤다. 국무총리였던 주인공이 부패한 대통령, 부총리와 치열한 수 싸움 끝에 ‘동귀어진(同歸於盡)’하는 나름의 정의 실현으로 결말이 났다. 그런데 그 뒤에 세상은 어떻게 될까?
드라마나 영화는 대중성이 크다. 거기에 사회풍자를 잘 담으면 실제 변화에 도움이 될 법하다. 그러나, 과연 그럴까를 생각해보면, 드라마는 드라마일 뿐. 우주선은 안나오지만 다크 히어로 계열의 작품은 SF 만큼이나 현실과 괴리가 크다. “그것도 어차피 다 재미로 보는 거지 뭐야”라고 하니까, 영화과 교수인 친구는 “그래도 주로 어떤 소재가 등장하는지 보면, 당시 대중의 불만을 알 수 있지. 상업 작품은 철저히 대중의 기호를 따르니까”라고 말했다.
그렇다, 예전에는 ‘수사반장’이 있었고, ‘공공의 적’ 강철중, 베테랑 서도철 형사가 있었다. 그러더니 총을 들고 다니는 검사, 수사를 직접하는 판사까지 나오고, 사적 제재를 한다. 과거 형사물에서는 악의 근원이 범죄자였는데, 지금은 형사사법시스템 자체가 문제라고 생각하는 것이다. 요즘 ‘사기’는 대중에게 ‘마케팅’을 하는데, 정부는 ‘단속’으로 대처하지 않고 ‘고소장’만 기다리니, 대응이 되지 않는 것이다.
그런 관점에서 드라마 ‘돌풍’은 매우 흥미롭다. 다크 히어로의 직업이 정치인이고 문제를 정치적으로 푼다. 주인공 검사가 ‘어떤 정치인’의 비리와 싸우는 것과 차이가 있다. 정치판이 바뀌어야 한다는 대중의 요구를 반영한 것이다. 이 드라마의 시사적 역할은 그것만으로도 훌륭하고, 나머지는 드라마로서 보면 될 것이다. 작가도 ‘답답한 현실을 리셋하고 싶은 갈망에서 시작한 판타지’라고 인터뷰에서 밝혔다.
그럼에도 ‘돌풍’에 대한 반응들을 보면, 이것을 드라마가 아니라 정치로 대하는 듯한 반응들이 많아 흥미롭다. 실제 사건을 모티브로 했다면 팩트와 다르다, 왜곡했다, 미화했다 얘기가 나오는 것이 당연하지만, 돌풍은 픽션인데. 그만큼 사람들의 머릿 속에는 각자의 정치 포지션이 존재하기 때문일 것이다.그 포지션이 ‘무조건적’이고 ‘감정에 휩쓸리는’ 것이면 정치판을 바꾸는데 전혀 도움이 되지 않음은 ‘돌풍’에서도 나왔듯이 당연한 것이다. ‘무관심’은 어떤가? 지금의 정치판을 유지하게 도와주는 손뼉의 다른 한쪽에 해당한다.
드라마는 드라마로 보자. 어차피 그 시간에 심심해서 보는 거 아닌가. 그리고 조금만 상상력을 발휘해서 ‘그 뒤의 세상은 어떻게 될까?’를 생각해보자. 드라마 속 세상이 아니라, TV를 끈 뒤의 내가 사는 세상말이다. 박동호는 없고, 나는 대통령, 영부인, 국무총리, 국회의원, 비서관, 검사가 아니라 국민이다.
예자선 변호사·경제민주주의21 금융사기감시센터 소장
출처 : https://www.ltn.kr/news/articleView.html?idxno=44084